본문 바로가기

dev

(48)
[wecode] project 회고록 짧고 길었던 2번의 스프린트가 끝났다.(보통 이런 말들로 회고를 시작하긴 하더라 잘 팔리는 데엔 이유가 있겠지) 전혀 새로운 분야에서의 첫 번째 협업 프로젝트였기에 너무 얻은 것이 많은 2주였다 프로젝트에 관한 글은 블로그에 올리지도 않았는데 회고록부터 작성하는 게 좀 웃기긴 하지만 블로그에 글 올릴 시간도 아껴가며 프로젝트에 몰두했었다고 작은 합리화를 해볼까 한다 ㅎㅎ 나는 골든 서클 이론을 사랑하기 때문에 why?로 시작하는 내용으로 차례차례 글을 써 내려가 보겠다 (사이먼 시넥의 테드 강의로 알게 된 이론인데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도 내 생각과 언동의 기준이 되고 있다) 혹여 후배 위코더가 이 글을 본다면 프로젝트에 관해 최대한 많은 궁금증을 해소하고 또 얻어가길 바란다 나는 왜 프로젝트에 참여했는..
[git]fatal: The current branch feature/models has no upstream branch. 메인에서 pull 받은 이후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고 새로운 브랜치의 작업 내용을 github에 push할 때 발생 업스트림 브랜치를 설정하지 않아서 발생한 에러다 git push --set-upstream origin 브랜치이름 해결은 됐는데... 근데 아직 upstream과 origin 과의 정확한 차이점을 모르겠다.. 공부 후에 별도의 포스팅으로 다뤄봐야겠당
[django] Model - Field options 필드 옵션은 모든 필드 유형에서 사용될 수 있다 null Field.null '값이 없음'을 저장함. False가 기본값 CharField, TextField와 같은 문자열 기반 필드에는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 문자열 필드에서 '데이터 없음'이라고 하면 null값이랑 빈 문자열 2가지가 있어 중복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장고에서는 null이 아닌 빈 문자열을 사용한다 예외가 있는데 CharField가 unique=True 와 blank=True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다 이런 경우에는 빈 값으로 여러 개체를 저장할 때 문제가 생긴다 blank로 부여된 '빈 값'이라는 데이터는 unique 속성 때문에 컬럼 전체를 통틀어 1개 밖에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는 null 값으로 저장하면 unique ..
[project] wecode 1st project - ChickIN 아 드디어 와버렸다 그 기간이... 진짜 시간이 조금만 더 있었으면 좋겠다 더 준비를 해서 프로젝트에 임할 수 있도록 허허.. 하지만 후회를 하고 앉아있는다고 상황이 바뀌진 않는다 프로젝트에 들어가기 전 내가 잊으면 안 되는 것들을 몇가지 적어보자 Scrum 진행 방식에 익숙해지자 MVP(Minimum Viable Product)에 대해 항상 인지하자 Agile 하게 진행하자 Trello, Github 같은 협업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사용법을 익히자 제일 중요한건 소통이다. 그냥 놀고 떠드는 소통이 아니라 업무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소통을 하자 Git 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최대한 많이 만나보고 해결해보자 섣부른 질문은 지양하되 너무 오래 문제를 안고 있지 말고 유일신인 Google에게 물어보자 가장 좋..
[django] models - modeling, migrate [django] url 분리 [django] Hello world 우리는 이제 프로젝트와 앱을 생성하고 해당하는 뷰를 작성한 후 url을 해당 뷰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제 모델링을 할 차례고 우리는 Q&A 게시판을 만들어볼 예정이다. 질문하는 글이 올라오면 그에 대한 답변을 올릴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해야 하는데 그럴려면 다음의 것들이 필요하다 질문글의 제목, 내용, 작성 일시 답변글의 답변한 질문글 제목, 내용, 작성 일시 그럼 일단 완성본을 보고 설명을 이어나가도록 하자 from django.db import models # django.db 에서 models를 불러옴 """ class 클래스명(인수): 속성1 = 인수1.필드타입(필드옵션) 속성2 = 속성3 = 속성4 = class 자식클래스명: d..
[django] Model - 숫자관련 Field (Positive)IntegerField -2147483648 ~ 2147483647 범위의 정수 값을 저장한다 (4 Bytes) Min/MaxValueValidator를 사용하여 입력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 Raises a ValidationError) 앞에 Positive를 붙이면 음수값 입력시 Value Error가 나고, 무조건 0부터 시작한다 (Positive)BigIntegerField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범위의 정수 값을 저장한다 (8 bytes) Positive를 붙이면 인티저 필드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Positive)SmallIntegerField -32768 ~32767 범위의 정수값을 저장한다 (2 Bytes) Pos..
[python] 자료형 - List [python] 자료형 - 변수 [python] 자료형 - 숫자형 [python] 자료형 - 문자열(1) - 표현방식과 연산 [python] 자료형 - 문자열(2) - 인덱싱, 슬라이싱 [python] 자료형 - 문자열(3) - count(), find()와 index()의 차이 python에서 list란? 순서가 있는 수정 가능한 객체의 집합 여러개의 서로 다른 타입의 객체들도 하나의 변수로 묶어서 관리할 수 있다...뭐 이런 기능인데 네 뭐 정의나 이론은 원래 어려운겁니다 그냥 실제로 보시죠 그게 빠르니 리스트명 = [객체1, 객체2, 객체3, ... , 객체n] li_name1 = [1,3,5,7,9] li_name2 = ['1',2,'3',3456,'백엔드 조아','backend joa'] li_..
[python] Regular Expression - Meta characters 메타 문자란? 원래 가진 뜻이 아닌 특별한 용도로 사용하는 문자. 따라서 아래 문자들을 정규 표현식에 사용하면 메타문자로써 특별한 의미를 갖게 된다 . ^ $ * + ? { } [ ] \ | ( ) [ ] (문자 클래스) 뜻은 [ ] 사이의 문자들과 매치 들어가는 값은 어떤 문자든 상관없다 [abc] --> a, b, c 중 1개의 문자 [a-z] --> a~z [A-Z] --> A~Z [a-zA-Z] --> 모든 알파벳 [0-9] --> 모든 숫자 위의 예시처럼 하이픈을 사용해서 두 문자 사이의 범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문자 클래스 안에는 어떤 문자나 메타문자도 사용할 수 있다 (^는 제외 이유는 후술) 알파벳 전체나 숫자 전체같은 것들은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표기법으로 사용가능하다 \d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