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python

(20)
[python] 자료형 - List 관련 함수 더보기 [python] 자료형 - List [python] 자료형 - 문자열(3) - count(), find()와 index()의 차이 [python] 자료형 - 문자열(2) - 인덱싱, 슬라이싱 [python] 자료형 - 문자열(1) - 표현방식과 연산 [python] 자료형 - 숫자형 [python] 자료형 - 변수 append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요소를 추가한다 리스트 특성 상 어떤 자료형이든 넣을 수 있다 a = [1,2,3,4,5] a.append(2) >>> a [1,2,3,4,5,2] a.append([5,6]) >>> a [1,2,3,4,5,2,[5,6]] insert insert도 요소를 추가해주는 함수지만 append와는 다르게 위치를 지정해줄 수 있다 a = [1,2,3] a.in..
[python] 자료형 - List [python] 자료형 - 변수 [python] 자료형 - 숫자형 [python] 자료형 - 문자열(1) - 표현방식과 연산 [python] 자료형 - 문자열(2) - 인덱싱, 슬라이싱 [python] 자료형 - 문자열(3) - count(), find()와 index()의 차이 python에서 list란? 순서가 있는 수정 가능한 객체의 집합 여러개의 서로 다른 타입의 객체들도 하나의 변수로 묶어서 관리할 수 있다...뭐 이런 기능인데 네 뭐 정의나 이론은 원래 어려운겁니다 그냥 실제로 보시죠 그게 빠르니 리스트명 = [객체1, 객체2, 객체3, ... , 객체n] li_name1 = [1,3,5,7,9] li_name2 = ['1',2,'3',3456,'백엔드 조아','backend joa'] li_..
[python] Regular Expression - Meta characters 메타 문자란? 원래 가진 뜻이 아닌 특별한 용도로 사용하는 문자. 따라서 아래 문자들을 정규 표현식에 사용하면 메타문자로써 특별한 의미를 갖게 된다 . ^ $ * + ? { } [ ] \ | ( ) [ ] (문자 클래스) 뜻은 [ ] 사이의 문자들과 매치 들어가는 값은 어떤 문자든 상관없다 [abc] --> a, b, c 중 1개의 문자 [a-z] --> a~z [A-Z] --> A~Z [a-zA-Z] --> 모든 알파벳 [0-9] --> 모든 숫자 위의 예시처럼 하이픈을 사용해서 두 문자 사이의 범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문자 클래스 안에는 어떤 문자나 메타문자도 사용할 수 있다 (^는 제외 이유는 후술) 알파벳 전체나 숫자 전체같은 것들은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표기법으로 사용가능하다 \d = [0..
[python] 함수의 결과는 언제나 하나다? [python] 함수 - 함수 기본 [python] 함수 - 일반적이지 않은 함수 [python] 함수 - *args, **kwargs def func_1(num1,num2): return num1,num2 func_1(10,20) 입력받은 수를 그대로 내보내는 간단하고 쓸모없는 함수다 이 함수의 리턴값은 어떤 것일까? 함수는 값이 1개 뿐이어야 하는데 2개의 값이 나오니 에러가 뜰까? 아니면 그냥 쉽게 값을 1개씩 리턴할까? 정답은 (10,20) 튜플값으로 리턴한다 10과 20을 모두 리턴하면서 1개만 리턴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인듯하다 이렇듯 함수의 리턴값은 무조건 하나다! 하지만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는 법 튜플형식의 값이 아니라 각각의 값을 리턴받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결과값을 뽑을 수도 있다 de..
[python] 함수 - *args, **kwargs [python] 함수 - 함수 기본 [python] 함수 - 일반적이지 않은 함수 *args (가변매개변수) 만약에 매개변수가 몇개인지 모른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다음의 상황을 가정해보자 입력받은 값을 모두 더하는 함수를 만든다 하지만 어떤 숫자가 몇개나 입력될지는 모른다 이럴 때 사용하는게 가변인자다 함수를 정의할 때 인수 자리에 *를 앞에 붙여서 아무 인수이름만 넣으면 된다 *args *a *abc *qwer 어떤 형태든 상관없다 다만 관례적으로 *args 를 많이 사용한다 def sum (*anything): result=0 for i in anything: result+=i return result print(sum(1,2,3,4,5)) >>15 *args 가 아니어도 정상적으로 함수는 동작하..
[python] 함수 - 일반적이지 않은 함수 [python] 함수 - 함수 기본 사실 일반적이지 않다고 하기도 뭐한게.. 자주 쓸 수도 있는거고 (응애 나 아기 개발자 아직 현업 몰라) 근데 일반적으로 쓰는 '입력값--(함수)->결괏값' 의 형식을 따르지 않는 함수들을 포스팅해볼까 한다 3가지가 있는데 입력값이 없는 함수 결괏값이 없는 함수 입력값도 결괏값도 없는 함수(예?) 입력값이 없는 함수 입력값이라고 하면 뭐가 있겠나? 당연히 매개변수! 인수라고도 한다! 입력값이 없어도 출력값이 나오는 함수가 있을 수 있을까? 당연하다! 입력값을 넣든 안 넣든 hi가 리턴되는건 똑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입력값이 없는 함수는 위처럼 그냥 함수의 내용에 아무런 인수도 넣지 않으면 된다 결괏값이 없는 함수 함수에서 결괏값은 항상 return을 통해 받는다 그..
[python] 함수 - 함수 기본 함수...함수.... 고등학생 때 수도 없이 봤던 f(x) 그거... 배웠던걸 생각해보면 정의역이니 공역이니 이항관계니 이런 말들이 떠오르는데.. 그냥 오른쪽의 그림으로 모든 게 설명되지 않을까? 특정한 값 x를 넣어서 그에 상응하는 값이 나오는 그 과정을 함수라고 했었다 마치 자판기나.. 믹서기 등에 비유하곤 했다 그럼 프로그래밍에서의 함수는 뭘까? 나의 유일신에게 여쭤봐야겠다 A function is a unit of code that is often defined by its role within a greater code structure. Specifically, a function contains a unit of code that works on various inputs, many of w..
[python] 문자열 포매팅 현재 코스피지수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현재 코스피지수는 2750.26 입니다" 라고 출력할 것이다 하루가 지나서 변경된 값을 보여줘야 한다고 했을 때 "현재 코스피지수는 2720.13 입니다"라고 출력할 것이다 여기서 "현재 코스피지수는 #### 입니다" 라는 문자열은 항상 고정이다 내 생각엔 전체 문자열을 계속 출력하는 것보단 바뀌지 않은 문자열은 그대로 두고 바뀌는 문자열만 출력하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이럴 때 쓰는게 문자열 포매팅이다! 역시나 여러가지 방식이 있는데 하나씩 보자 %-formatting 문자열에 %로 시작하는 포맷 코드를 넣고 문자열 뒤에 넣고 싶은 문자열이나 숫자열을 넣는 방식 %s 문자열(String) %c 문자 1개(character) %d 정수(In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