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python (20) 썸네일형 리스트형 [python] 기본 연산자(5) - 맴버 연산자, 식별 연산자 [python] 기본 연산자(1) - 산술 연산자 [python] 기본 연산자(2) - 비교 연산자 [python] 기본 연산자(3) - 할당 연산자 [python] 기본 연산자(4) - 논리 연산자, 비트 연산자 아 이전 글 보수 연산 때문에 머리가 터질 거 같다.... 다행이다 이번 포스팅은 쉬우니까.. Membership Operators 멤버 연산자는 리스트 내에 포함이 되어 있냐 아니냐를 연산해준다 in list 내에 포함되어 있으면 True 'a' in ['a', 'b', 'c'] = True not in list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Ture 'a' not in ['a', 'b', 'c'] = False 코드.. 코드를 보자! Identify Operators 식별 연산자는 각 개체의 메모리.. [python] 기본 연산자(4) - 논리 연산자, 비트 연산자 [python] 기본 연산자(1) - 산술 연산자 [python] 기본 연산자(2) - 비교 연산자 [python] 기본 연산자(3) - 할당 연산자 Logical Operators 논리 연산자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대출을 받는 상황을 상상해보자 SMS 인증, 공동인증서인증, ARS인증 중에 하나만 인증하면 다른 인증방식을 전부 만족하지 않아도 인증이 완료가 된다 이건 논리 연산자 중 or의 연산방식을 따른다 하지만 계약서의 서명과 체크는 모두 다 완료해야 다음 과정으로 넘어갈 수 있다 이건 논리 연산자 중 and의 연산방식을 따른다 또한 내 대출 결격사유가 없어야 한다! 이건 논리 연산자 중 not의 연산방식을 따른다 각각의 연산방식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른다 Operator Description .. [python] 기본 연산자(3) - 할당 연산자 [python] 기본 연산자(1) - 산술 연산자 [python] 기본 연산자(2) - 비교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s 할당 연산자...그래 뭔가 할당할 거 같이 생긴 이름인데 이름만 들어서는 감이 잘 오지 않는다... 우선 기능을 좀 보도록 하자 Operators same as Description a=b a=b 변수 a에 b를 할당한다 a+=b a=a+b 변수 a에 b를 더하고 결과를 a에 할당한다 a-=b a=a-b 변수 a에 b를 빼고 결과를 a에 할당한다 a*=b a=a*b 변수 a에 b를 곱하고 결과를 a에 할당한다 a/=b a=a/b 변수 a를 b로 나누고 결과를 a에 할당한다 a//=b a=a//b 변수 a를 b로 나눈 몫을 a에 할당한다 a%=b a=a%b 변수 a를 b.. [python] 기본 연산자(2) - 비교 연산자 [python] 기본 연산자(1) - 산술 연산자 Comparison Operators 말 그대로 두 값을 비교할 때 쓰는 연산자다 우리 수학에서 배우지 않았는가 a>b 가 무엇인지 이게 a는 b보다 크다라는게 떠오른다면 이미 이번 글의 5할은 알고 있는 것이다 아래의 표를 보자 Operator Description a==b a와 b의 값이 같다 a!=b a와 b의 값이 다르다 a>b a가 b보다 크다 a=b a가 b 이상이다 a [python] 자료형 - 문자열(4) - upper(),lower(),replace(),split() [python] 자료형 - 변수 [python] 자료형 - 숫자형 [python] 자료형 - 문자열(1) - 표현방식과 연산 [python] 자료형 - 문자열(2) - 인덱싱, 슬라이싱 [python] 자료형 - 문자열(3) - count(), find()와 index()의 차이 어느 날 갑자기 사장님이 와서 나한테 이런걸 시켰다고 생각해보자 여기 이 텍스트 파일 전부 대문자로 되어 있는거 하나 소문자로 되어 있는거 하나 만들어서 가져와 개발자가 아닌 요리사였다면 구글에서 온라인컨버터나 찾고 있었겠지만 나와 이 글을 보는 당신은 이제 개발자다 문제는 코드로 해결하자 위처럼 upper는 문자열은 전부 대문자로 바꿔주고 lower는 전부 소문자로 바꿔준다 전부 대문자랑 소문자로 바꿔서 가져갔더니 사장님이 어.. [python] 자료형 - 문자열(3) - count(), find()와 index()의 차이 [python] 자료형 - 문자열(2) - 인덱싱, 슬라이싱 [python] 자료형 - 문자열(1) - 표현방식과 연산 [python] 자료형 - 숫자형 [python] 자료형 - 변수 긴 문자열에서 특정한 알파벳이 몇개가 포함되어 있는가 혹은 공백이 몇개나 포함되어 있는가 등등 특정 문자열의 개수나 위치를 알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count 함수다 또는 find 함수로 원하는 문자열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index 함수와 기능이 같다 하지만 find는 찾고자 하는 문자열이 없다면 -1을 반환하고 index는 ValueError를 발생시킨다는 차이가 있다 위 코드를 보면 대문자 O는 변수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find로 찾을 경우는 -1을 반환하지만 index로 찾는 경우는 Valu.. [python] 기본 연산자(1) - 산술 연산자 Basic Operators- Arithmatic Operators 글자도 더하는데 똑똑한 파이썬이 숫자를 더하지 못할리가 없다 정수형 데이터끼리의 나눗셈을 제외한 사칙 연산은 정수형 데이터로 반환한다 정수형 데이터끼리의 나눗셈의 결과는 정수형이 아닌 실수형으로 반환된다 실수형 데이터끼리의 사칙 연산은 실수형 데이터로 반환한다 실수형 데이터와 정수형 데이터 사이의 사칙 연산은 언제나 실수형 데이터를 결과로 반환한다 위 코드를 보면 결과값은 정수라도 자료형은 실수형으로 반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본적인 사칙연산 말고도 파이썬에선 유용한 산술연산자들을 제공한다 [python] 자료형 - 문자열(2) - 인덱싱, 슬라이싱 [python] 자료형 - 변수 [python] 자료형 - 숫자형 [python] 자료형 - 문자열(1) - 표현방식과 연산 인덱싱 (indexing) 인덱싱에 대해 공부하기 전에 알고 가야할 파이썬의 중요한 특징이 있다 파이썬은 숫자를 0부터 센다! You need Python. 위 문자열에서 6번째 텍스트가 무엇인지 궁금할 때가 있을 수 있다 우리는 이 때 인덱싱을 통해 값을 얻을 수 있다 1 2 3 4 #1 a="You need Python." print(a[6]) # e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위와 같이 말이다 순서를 찾을 때는 아래와 같이 문자열의 문장부호와 공백을 모두 포함한다 Y o u n e e d P y t h o n . 0 1 2 3 4 5 6 7 8 9 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