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깃허브를 잘 모른다
개발 공부만 10개월을 했지만 집에서 혼자 뚝딱뚝딱하고 있었고
누구한테 보여주기 창피할 정도의 조잡한 토이프로젝트가 수십개가 쌓여도
그건 내 하드에 숨겨두고 싶었다ㅋㅋㅋ
근데 회사 들어가서 "깃 써본적 없는데요?" 라고 한다면 날 뽑은 면접관은 무슨 죄인가 ㅋㅋㅋㅋ
그냥 깃헙 들어가서 저장소에 올리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내겐 터미널을 이용해서 업로드하는 방법이 더 쉽고 빠르게 느껴진다
우선 에디터를 열고 아무 파일이나 생성하고 아무 내용이나 입력해보자!
터미널을 열고 아래의 단축키를 누른다
ctrl+` (윈도우도 동일) (숫자1 왼쪽에 있는 그것!)
위와 같은 창이 켜졌다면 성공이다
자 이제 여기에 아래와 같이 입력해서 초기화를 해준다
git init
init은 Initializing의 약자로 초기화를 뜻한다
이 작업은 해당 저장소에 최초업로드를 할 때만 하면 된다
이 이후에 파일을 추가한다거나 수정할 때는 할 필요가 없다는 점!
자 이제 아래와 같이 입력해서 파일을 추가해주자
git add .
닷 앞에 공백을 반드시 넣어야 한다!
닷만 입력하면 모든 파일을 추가하겠다는 뜻이고 특정 파일만 올리기 위해서는
git add name.html 같은 방식으로 입력하면 된다
내가 원하는 파일만 성공적으로 추가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자
git status
그럼 아래의 사진처럼 내가 추가한 파일 목록이 뜬다
test.html이란 파일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다음이 중요한데
보통 코딩을 하다보면 최종완성될 때까지 많은 수정본이 나올 것이다
우린 깃헙에 올린 파일이 몇번째 수정본인지 기록할 필요가 있고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히스토리명을 정해서 기록할 수 있다
git commit -m "first commit"
commit은 이름을 짓다라고 할 때 그 짓다라는 뜻이고
m은 message의 약자다
자 이제 인터넷창을 열고 깃헙으로 들어가서 새 저장소를 만들어보자
New를 클릭해서 새로운 저장소를 만들어주고
이름을 지어주자 나는 git_test로 지어보겠다
Create repository를 눌러서 저장소를 만들어주고 난 다음
위에서 https로 시작하는 주소를 복사해준다음
다시 터미널로 돌아와서 아래와 같이 입력해준다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한 주소
이걸로 새로 만든 저장소와 내 현재 프로젝트가 연결이 됐다
자 이제 마지막으로
git push -u origin main
위와 같이 입력하면 업로드가 끝난다!
업로드가 끝난 뒤에 깃헙에 새로 만든 저장소로 들어가보면
위와 같이 새로운 파일이 업로드 된걸 확인할 수 있다!
git commit -m "first commit"
아까 입력한 명령어 중에 입력한 first commit이 사진과 같이 히스토리명으로 지정된걸 확인할 수 있다!
아래는 사용한 모든 명령어다
git init
git add .
git status (확인할 때만 사용하니까 이건 선택사항이다)
git commit -m "히스토리 이름"
git remote add origin 깃헙에서 복사해 온 repository 주소
git push -u origin 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