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python
[python] 자료형 - 숫자형
Jayce_kim
2022. 1. 4. 13:34
숫자형
숫자형에는 주로 사용하는 정수형, 실수형 등이 있고
그 외에 표현방식에 따라 컴퓨터식 지수표현 방식, 8진법, 16진법 등이 있다.
정수형(int) - 0, 1, 999999 ,-1
실수형(float) - 1.5, 1/2, -0.0000001
컴퓨터식 지수 표현방식 - 12.34e-10
8진수 0o10
16진수 0x1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a=1
print(a)
print(type(a))
# 1
# <class 'int'>
a=1.5
print(a)
print(type(a))
# 1.5
# <class 'float'>
a=1.25e4
print(a)
print(type(a))
# 12500.0
# <class 'float'>
a=0o10
print(a)
print(type(a))
# 8
# <class 'int'>
a=0X10
print(a)
print(type(a))
# 16
# <class 'int'>
|
cs |
각각 위와 같은 결과값과 자료형을 가진다
산술 연산자
파이썬에서는 사칙연산을 위한 산술 연산자로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를 사용한다
또한 제곱(**)도 가능하다
나눗셈의 몫을 알고 싶다면 //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를 알고 싶다면 %를 사용하면 된다
숫자형끼리의 연산
그리고 숫자형끼리의 계산값도 숫자형의 자료형을 가진다
이 때 정수형끼리 더한 값만 정수형으로 출력되고
정수형+실수형, 실수형+실수형은 모두 실수형으로 출력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a=1+1
print(a)
print(type(a))
# 2
# <class 'int'>
a=1.2+1.8
print(a)
print(type(a))
# 3.0
# <class 'float'>
|
cs |
위와 같이 1.2+1.8은 3이라는 정수값이지만 컴퓨터에서는 이를 3.0이라는 실수형으로 받아들인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
a=10/5
print(a)
print(type(a))
# 2.0
# <class 'float'>
#2
a=6.5//5
print(a)
print(type(a))
# 1.0
# <class 'float'>
#3
a=1.5%3
print(a)
print(type(a))
# 1.5
# <class 'float'>
#4
a=1.5**3
print(a)
print(type(a))
# 3.375
# <class 'float'>
|
cs |
위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 덧셈을 포함하여 모든 사칙연산이나 제곱연산에서
실수형과 정수형의 데이터를 함께 사용한다면 값은 무조건 실수형으로 나타낸다